개별채권을 매수해보자...!
최근에 많은 매체들에서 채권을 사야하는 타이밍이라고 얘기한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해 조사해보려고 한다.
- 채권이 무엇인지?
- 왜 채권을 사야하는지?
- 어떻게 채권을 사야하는지?
금리에 따른 투자 사이클
연준에서 말하길 앞으로도 계속해서 금리를 올릴꺼라고 얘기하고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인플레이션이 심각한 상태
- 경기침체가 온다고 하더라도 잡아야함
- 중간에 금리상승을 멈추면 지금까지의 노력이 헛수고
- 경기는 생각보다 튼튼... 고용율 등등... (그치만 그건 미국만...ㅠ)
- 앞으로도 금리 인상을 지속
즉, 어쨋든 금리를 계속해서 올린다는 얘기이다.
금리의 변화에 따른 투자 모델이 있는데, 바로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델인데, 다음과 같다.
현재 우리는 금리 저점에서 금리 정점을 향해 하고있는 어딘가에 있음 (F 어딘가…?)
그렇다면 지금은 예금을 가입해야 하는데, 자산시장은 빠르게 변화하니 앞으로 있을 금리 하락을 위해 채권을 미리 공부해두어야 적절한 타이밍이 왔을때 매수할 수 있을것이다.
채권이란?
매우 심플하게… 돈을 빌려주고, 원금과 이자를 받을 권리를 받는것
그리고 그 권리를 사고 팔 수 있음
간단하게 비유하자면… 예금통장을 거래하는것!
각 자산군별 리스크대비 수익률
예금에 비해 약간의 리스크를 추가로 얻으면서 기대수익률도 살짝 올라간것을 확인할 수 있다.
채권의 리스크
채권이 아에 리스크가 없는것이 아니다. 크게보면 다음과 같은 두개의 리스크가 있다.
- 부도 리스크
기업이나 국가가 파산하면 휴지조각이 된다... - 금리 리스크
금리가 오르면 채권의 가격은 떨어진다.
금리와 반대로 움직임
채권의 종류
발행 기관에 따른 분류
거래 기관에 따른 분류
- 장내 채권
기관투자자 → 한국거래소 채권시장 → 개인투자자 - 장외 채권
기관투자자 → 증권사 → 개인투자자 - ETF
채권들을 모아둔 ETF
신용등급에 따른 분류
그래도 가능하면 BBB 이상을 투자하는게 좋지 않을까 싶다.
예금은 5,000만원까진 보호가 되지만 채권은 그렇지 않다. 회사가 부도나거나 이자지급을 못하는 디폴트가 발생할 경우 원금손실의 위험이 존재한다.
리스크를 얻는만큼 기대수익률이 높지만 그렇게 리스크를 받으면서 투자하는거라면 차라리 주식이 더 좋지않나 싶기도 하고...
채권을 매수해보자
조사하면서 고민이 되었다. 내가 정리한 채권은 다음과 같다.
- 예금보다 리스크를 조금 더 감수하면서 약간 높은 프리미엄을 받는다.
- 예금통장을 사고 판다.
- 조금더 스마트머니가 많이 흐른다.
현재의 예금 금리
예금상품금리비교 사이트에서 비교가 가능하다.
전국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금융상품정보,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금융서비스정보, 소비자정보, 금융교육, 보이스피싱정보
portal.kfb.or.kr
보면 12개월 기준 3~4% 정도의 금리이다.
예금 금리 대비 어느정도 리스크를 지면서 프리미엄을 가져갈지 기준을 세웠다.
매수하는 방법
MTS 로도 매수가 가능한데, 보기가 매우 불편했다.
중요하게 생각되는 지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었다.
- 이자율
- 투자 등급
장내 채권을 매수하고 싶었는데, 보고 검색하는게 너무 불편하게 되어있었다.
이자율이랑 신용등급이 같이 나와있어서 정렬하고 비교하고 싶었는데, 그렇지 않았다.
그래도 장외채권은 왼쪽 화면처럼 나오길래 나름 볼만해서 찾았다.
그중에 네이버가 아는 기업이기도 하고, 이자율도 나쁘지 않고, 등급도 괜찮아서 매수해보기로 하였다.
상세정보에 들어가서 원하는 수량을 입력해서 매수를 진행하면 끝이다. 생각보다 간단했다.
내가 생각하는 채권에 영향을 주는 이슈들
그냥 주위에서 들려오는 채권 관련 이슈들을 천천히 생각해보면서 나열해보았다.
연준의 금리인상과 QT
양적완화의 반대인 QT는 연준이 매입했던 채권을 시장에 내다 파는것을 말한다. 그정 두가지로 나뉘는데, 다음과 같다.
- Passive QT: 만기된 채권을 연장하지 않고 원금을 받아냄
- Active QT: 만기되지 않은 채권을 팜
지금은 Passive QT 를 진행중인데, 사실 이것만으로도 시장에는 부담이 됨
채권의 공급이 많아지면 자연스럽게 채권금리가 상승하고, 가격은 빠지게 된다.
QT를 진행할수록 내가 가진 채권의 가격은 하락하게 될것
일본의 환율 방어
일본이 환율을 방어하기 위해 보유한 채권을 던질 수 있음.
연준의 QT와 마찬가지 이유로 채권 가격 하락 가능성이 있음
영국의 감세정책
영국이 감세 정책을 발표했음.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감세정책은 인플레이션을 더 유발하는 정책
그만큼 경기침체가 심각한 상황으로 예상
하지만 그만큼 파운드화의 가치는 하락하고, 달러 강세가 지속될 예정
부족한 재정은 국체를 발행하여 매꾸지 않을까 싶음
결론
그래서 오늘은 채권에 관련된 내용들을 정리해보았다.
아직 더 좋은일보단 좋지 않은 일들이 많이 기다리고 있는것같긴 하다.
그래도 미리 대비하고 준비하고 있어야 기회도 온다고 생각한다.